* 비밀키 암호화 기법
· 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정서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.
·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.
·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인해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빠르다.
· 사용자가 증가할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진다.
* 해킹
· 스누핑 : 네트워크 주변을 돌아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
· 스푸핑 :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
·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(DDos) :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행위
· 키로거 :키보드의 키 입력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
* 데이터
· 데이터 웨어하우스(Data Warehouse) : 데이터베이스 모임
· 데이터 마이닝(Data Mining) : 대량의 데이터 안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고, 이로부터 정보를 추출해내는 기술
· 데이터 마이그레이션(Data Migration) : 데이터를 요구에 따라 이전
· 메타데이터(Metadata) : 필요에 따라 가공된 데이터
* 프로토콜
· 흐름 제어
· 동기화
· 에러 제어(검출)
(X)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연결문제 해결
* IPv6
·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.
·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되며, 콜론(:)으로 구분한다.
·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애니캐스트로 나누어진다.
·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지원한다.
* ASCII 코드
· 3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하나의 문자를 표현한다.
·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하며, 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.
·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문자를 표현한다.
· 1비트 패리티비트를 사용하여 통신용에서 오류 검출만 할 수 있다.
(해밍코드 : 2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 비트를 포함한다.)
* 객체지향 프로그램
·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
* CPU 제어장치 레지스터
· 프로그램 카운터: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한다.
· 명령 레지스터: 현재 실행 중인 명령을 기억한다.
· 부호기: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보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.
·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: 기억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한다.
* 보조기억장치
· HDD - 저장용량크고 데이터 접근 속도 빠르나 충격에 약함
· SSD - 크기가 작고 충격에 강하며, 소음 발생 없는 대용량 저장장치
* BIOS (Basic Input Output System)
· BIOS는 메인보드 상에 위치한 EPROM, 혹은 플래시 메모리 칩에 저장되어 있다.
·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가장 먼저 기동되며,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.
·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, 부팅 순서 등 일부 BIOS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.
(X) 주기억 장치의 접근 속도 개선을 위한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.
* 백업, 복원
·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주기적으로 백업이 되도록 예약할 수 있다.
· 백업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.bkf 이다.
· 백업된 파일을 복원할 때 복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.
(X) 직접 선택한 폴더에 있는 알려진 시스템 폴더나 파일도 백업할 수 있다.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상거래운용사 실기 | 고도몰 4-2. 모바일샵 (0) | 2022.11.24 |
---|---|
전자상거래운용사 실기 | 고도몰 2. 상품 관리하기 (0) | 2022.11.24 |
고객만족도 SERVQUAL모형의 고객 서비스 품질 구성 RATER (0) | 2022.11.18 |
정형 데이터, 반정형 데이터, 비정형 데이터 (0) | 2022.11.18 |
노니카 지식변환 프로세스 SECI모델 (암묵지, 형식지) (0) | 2022.11.18 |